수도권 광역전철
수도권 광역전철(Seoul Metropolitan Subway)은 서울특별시와 그 일원의 철도운송을 담당하는 거대한 도시교통망의 명칭이다. 1975년에 처음 성립되어 30년 넘게 팽창을 계속해왔다. 도시철도 11개 노선, 광역철도 9개 노선에서 13개의 주요 운행 계통이 운행중이다.
노선계통 | 고유색 | 시점 | 종점 | 경유 노선 | 운행주체 | 노선완급 |
---|---|---|---|---|---|---|
1호선 | 군청 |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산역 |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 경기도 광명시 광명역 경기도 화성시 서동탄역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순천향대)역 |
서울 1호선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
완/급 |
2호선 | 녹색 | 서울특별시 중구 시청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역 |
서울특별시 중구 시청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까치산역 |
서울 2호선 | 서울교통공사 | 완 |
3호선 | 주황 | 경기도 고양시 대화역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역 | 서울 3호선 일산선 |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
완 |
4호선 | 파랑 | 서울특별시 노원구 당고개역 |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역 | 서울 4호선 과천선 안산선 |
완/부분급 | |
5호선 | 보라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역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역 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역 |
서울 5호선 | 서울교통공사 | 완 |
6호선 | 황토 |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역 | 서울특별시 중랑구 봉화산역 | 서울 6호선 | 완 | |
7호선 | 갈록 |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역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구청역 | 서울 7호선 | 완 | |
8호선 | 분홍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역 | 경기도 성남시 모란역 | 서울 8호선 | 완 | |
9호선 | 금색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역 | 서울특별시 강동구 보훈병원역 | 서울 9호선 | 서울9호선운영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
완/급 |
인천 1호선 |
하늘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역 | 인천광역시 연수구 국제업무지구역 | 인천 1호선 | 인천메트로 | 완 |
인천 2호선 |
주황 | 인천광역시 서구 계양오류역 |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연역 | 인천 2호선 | 완 | |
K1 경의중앙 |
옥색 |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 | 경기도 양평군 지평역 | 경의선 경원선 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 완/급 |
K1 경춘 |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역 | 강원도 춘천시 춘천역 | 경춘선 중앙선 |
완/급 | ||
K2 분당 |
노랑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역 |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 | 분당선 | 완 | |
K3 수인 |
경기도 안산시 오이도역 |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 | 수인선 | |||
K4 경강 |
코레일 블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 | 경기도 여주시 여주역 | 경강선 | ||
S 서해 |
딥 그린 | 경기도 부천시 소사역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역 | 서해선 | 한국철도공사 소사원시운영 |
완 |
일반적으로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수도권 전철과 연락 운송을 실시하고 노선도에 편의상 표기하나, 정부 계획상 도시철도나 광역철도가 아닌 관계로 수도권 전철 계통에 포함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용인경전철과 의정부경전철, 우이신설선 이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포함되어 무료 환승을 실시하고, 신분당선이 수도권 광역전철과 연락 운송을 실시한다. 노선도에는 함께 표시된다.
수도권 전철 최초의 급행 운행은 서울-수원 간에서 ‘직통열차’라는 이름으로 실시되었다. 이후 명칭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에 따라 ‘급행열차’로 바뀌었고, 운행 선구도 수원(현재 천안)행에서 부평(현재 동인천)행으로 확대되었다. 급행열차에 대한 승객 만족도가 높고,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한 관계로 이후 중앙선의 용산급행, 경의선의 서울급행/특급, 안산선의 당고개 부분급행 등으로 확대 실시중이다. 특히 경의선 전철은 철도공사의 테스트 베드로서, 역사상 유례없는 통근특급이 시범 운행중이다. 9호선은 건설시부터 급행 운영을 염두에 두고 대피선 등을 건설하여, 고효율의 완급 혼합운전을 실시중이다. 오히려 그 목적에 맞게 완급 혼합운전을 실시해야 할 분당선은 구조적 문제로 급행운전을 실시할 수 없어, 대체노선인 신분당선이 건설되었다.
전 노선이 수도권 통합 요금제 대상이나, 경기도계를 넘어선 구간부터는 특별임률이 적용된다. 역간 거리도 길 뿐더러 임률도 높아 강원도나 충청남도 지역에서는 전철로 두어 정거장만 가도 요금이 쑥쑥 빠진다. 현금, 교통카드로 승차할 수 있으며 전철 구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전철정기권을 판매하고 있다. 서울시계내와 시계내외 공용의 거리비례권이 있으며, 전용 카드를 구입하여 등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