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대학교 개교 제10주년 및 전서 개설 제8주년 - 내년에도 만나요~ 제발~
이제는 평창입니다

"지정공통승차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농담학회 전서
이동: 둘러보기, 검색
(그림)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지정공통승차권.png|thumb|중기형(위)과 후기형(아래)]]
 
'''지정공통승차권'''(지공승, {{lang|hanja|指定共通乘車券}})은 [[대한민국 철도청]] 및 [[한국철도공사]]에서 사용하였던 철도 승차권이다.
 
'''지정공통승차권'''(지공승, {{lang|hanja|指定共通乘車券}})은 [[대한민국 철도청]] 및 [[한국철도공사]]에서 사용하였던 철도 승차권이다.
  

2010년 8월 20일 (금) 01:13 판

파일:지정공통승차권.png
중기형(위)과 후기형(아래)

지정공통승차권(지공승, 指定共通乘車券)은 대한민국 철도청한국철도공사에서 사용하였던 철도 승차권이다.

CORTIS의 도입과 함께 90년대 중반까지 사용된 노란색의 국유철도 양식, 폭이 줄어들고 너비가 늘어난 초록색의 한국철도 양식, 한국철도 양식에 코레일 CI를 적용한 신 CI 양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에 1993년 대전 엑스포 기념 승차권과 1998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승차권, 철도청 신 CI 초기형 승차권을 더해볼 수 있다. 2004년 한국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마그네틱 승차권이 도입된 이후에도 지방의 소규모 역을 중심으로 계속 사용되다가, 2006년부터 사용이 완전히 중지되었다. 지정공통승차권은 전산발매가 가능한 모든 열차를 대상으로 사용되었고, 입장권 및 좌석 미지정식 통일호비둘기호의 승차권은 에드몬슨식 승차권을 이용하였다.

지정공통승차권은 승객에게 교부하는 갑지와 역에서 보관하는 을지로 구성되어 있다. 갑지는 카본지로서 여기에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로 인쇄하며, 리본을 소진하는 등 특수한 경우에 한해 수기 발매도 실시하였다. 수집의 대상이 되는 것은 주로 지공승의 갑지이나, 고물상 등에서 흘러나온 을지 또는 구 양식의 갑을지 세트 등도 수집가 사이에 유통된 바 있다. 지정공통승차권은 감열지에 인쇄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승차권면의 내용이 쉽게 사라지지 않아 수집가들이 선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