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대학교 개교 제10주년 및 전서 개설 제8주년 - 내년에도 만나요~ 제발~
이제는 평창입니다

"집전장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농담학회 전서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3개를 가져왔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현대의 철도차량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 팬터그래프 방식과 제3궤조 방식이 있다.
 
현대의 철도차량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 팬터그래프 방식과 제3궤조 방식이 있다.
  
팬터그래프는 집전장치가 전차선에 잘 접촉할 수 있도록 집전장치를 길게 설치하고 그 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을 관절형으로 하여 다양한 높이로 가설된 전차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크게 더블암식과 싱글암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블암식은 전체적인 형상이 마름모꼴로서, 세부적인 형태에 따라 능형과 하부교차형으로 나뉜다. 싱글암식은 전체적인 형상이 Σ형으로, 더블암식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공기 저항이 적으나 가선의 상태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
팬터그래프는 집전장치가 전차선에 잘 접촉할 수 있도록 집전장치를 길게 설치하고 그 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을 관절형으로 하여 다양한 높이로 가설된 전차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크게 더블암식과 싱글암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블암식은 전체적인 형상이 마름모꼴로서, 세부적인 형태에 따라 능형({{lang|漢|菱型}}; 마름모꼴)과 하부교차형으로 나뉜다. 싱글암식은 전체적인 형상이 Σ형으로, 더블암식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공기 저항이 적으나 가선의 상태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파일:Washington Metro third rail.jpg|thumb|흰 커버가 덮인 것이 급전궤도이다.]]
 
[[파일:Washington Metro third rail.jpg|thumb|흰 커버가 덮인 것이 급전궤도이다.]]
제3궤조 방식은 주행궤도 근처에 급전궤도를 하나 더 설치하고, 차량에 달린 슈를 급전궤도에 접촉하여 급전하는 방식이다. 차량 지붕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지하에 궤도를 부설할 경우 터널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직류만 이용할 수 있으며 고속 주행시 슈와 급전궤도의 접촉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어 도시철도 외에는 영국 등지를 제외하고 일반철도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예가 적다. 전류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한 쌍의 레일로 양극과 음극을 걸어주는 방식도 있으며, [[런던 지하철]]에서 사용한다.
+
제3궤조 방식은 주행궤도 근처에 급전궤도를 하나 더 설치하고, 차량에 달린 슈를 급전궤도에 접촉하여 급전하는 방식이다. 집전 슈가 급전궤도의 상부에 붙는 방식이 있고, 하부에 붙는 방식이 있다. 차량 지붕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지하에 궤도를 부설할 경우 터널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직류만 이용할 수 있으며 고속 주행시 슈와 급전궤도의 접촉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어 도시철도 외에는 영국 등지를 제외하고 일반철도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예가 적다. 전류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한 쌍의 레일로 양극과 음극을 걸어주는 방식도 있으며, [[런던 지하철]]에서 사용한다.
  
 
가장 오래된 집전방식은 집전봉을 통한 집전이다. 집전봉은 도체로 된 봉을 차량의 지붕 위에서 올려 가공전차선에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집전봉 방식은 신뢰도가 높은 편이나 전차선과의 접촉면이 넓지 않아 전차선에서 집전장치가 이탈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가장 오래된 집전방식은 집전봉을 통한 집전이다. 집전봉은 도체로 된 봉을 차량의 지붕 위에서 올려 가공전차선에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집전봉 방식은 신뢰도가 높은 편이나 전차선과의 접촉면이 넓지 않아 전차선에서 집전장치가 이탈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분류:철도차량]]
 
[[분류:철도차량]]

2016년 6월 18일 (토) 19:38 기준 최신판

집전장치는 전기 기관차나 전동차가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이다.

현대의 철도차량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 팬터그래프 방식과 제3궤조 방식이 있다.

팬터그래프는 집전장치가 전차선에 잘 접촉할 수 있도록 집전장치를 길게 설치하고 그 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을 관절형으로 하여 다양한 높이로 가설된 전차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크게 더블암식과 싱글암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블암식은 전체적인 형상이 마름모꼴로서, 세부적인 형태에 따라 능형(菱型; 마름모꼴)과 하부교차형으로 나뉜다. 싱글암식은 전체적인 형상이 Σ형으로, 더블암식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공기 저항이 적으나 가선의 상태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흰 커버가 덮인 것이 급전궤도이다.

제3궤조 방식은 주행궤도 근처에 급전궤도를 하나 더 설치하고, 차량에 달린 슈를 급전궤도에 접촉하여 급전하는 방식이다. 집전 슈가 급전궤도의 상부에 붙는 방식이 있고, 하부에 붙는 방식이 있다. 차량 지붕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지하에 궤도를 부설할 경우 터널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직류만 이용할 수 있으며 고속 주행시 슈와 급전궤도의 접촉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어 도시철도 외에는 영국 등지를 제외하고 일반철도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예가 적다. 전류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한 쌍의 레일로 양극과 음극을 걸어주는 방식도 있으며, 런던 지하철에서 사용한다.

가장 오래된 집전방식은 집전봉을 통한 집전이다. 집전봉은 도체로 된 봉을 차량의 지붕 위에서 올려 가공전차선에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집전봉 방식은 신뢰도가 높은 편이나 전차선과의 접촉면이 넓지 않아 전차선에서 집전장치가 이탈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